C.상담

5. Kelly의 개인 구성체적 접근

청소년지킴이 2006. 4. 3. 11:36

1. 기본 설명

창시자는 Kelly이다. Kelly의 "개념구성체 심리학" 이라는 그의 성격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상담에 있어 가장 체계적인 접근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접근과는 다른 용어를 포함하는

비정통적인 성격을 띤 접근이다.

 

2. 인간관

인간의 우주 내의 모든 것에 대해 계속 다르게 해석한다. 인간은 부단히 건설적 대안을 추구하는 존재다. 건설적 대안을 위해 인간은 나름대로 가설을 수립하고 그것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인간은 미래를 예견하고 기대되는 결과에 근거하여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행한다.

 

3. 성격이론

개인은 자신의 경험 세계를 구성하거나 해석하는 사고의 범주인 개념구성체를 가지고 있다.

이 개념구성체는 그 적응범위와 투과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개념구성체는 선취배타적, 범주적, 대안적 개념구성체로 나누어진다. 심리적 장애는 개념구성체 자체, 개념 구성체의 변화, 불안과 축소 및 죄책감, 의존성, 정신체제의 및 유기체적 문제, 그리고 통제에 관련되어 일어나다. 또한 장애 행동은 타당하지 못한 개인구성체의 사용 때문이라고 본다.

 

4. 상담의 목적과 목표

개인 개념구성체를 재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개념구성체를 정확하게 조직할 수 있게하고, 기존 개념구성체들 가운데 새로운 개념구성체로 대치 할 수 있도록 한다.

 

5. 상담의 과정과 기술

상담과정은 (1) 경험의 평가 (2) 활동의 평가, (3) 진단 (4) 심리치료적 접근이다. 주요기술로는 관계설정면담통제, 보증하기, 상담자의 태도와 가르치기, 지지하기, 전이와 통제, 느슨하게 하기, 압축하기, 해석, 고정 역할 치료 등이 있다.

 

6. 적용 및 평가

Kelly는 개인 상담뿐만 아니라 국제문제의 해결에까지 응용하려고 하였다. 상담을 체계적, 과학적으로 전개하려한 점이나 사물을 관찰할 수 있는 참신한 용어를 사용한 기여점이 있다. 그러나 기술의 실제 적용이 어렵고 익숙하지 못한 용어가 흥미를 잃게 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