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상담

11. Glasser의 현실치료적 접근

청소년지킴이 2006. 4. 3. 22:16

1. 기본 설명

창시자는 Glasser이다. 성공적 정체감을 강조하는 이 접근은 전통적인 접근 방법에 반대해서 일어났다. 복잡한 현실적 장면의 맥락에서 결정을 내리고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한다. 기본적으로는 내담자가 더욱 현실적인 행동을 배워서 성공적으로 현실을 타개해 나갈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둔 비교적 단기간의 상담 및 심리치료이다.

 

2. 인간관

인간은 '정체감'을 개발하려는 기본적 욕구가 있다. 그런데 인간은 성공적인 정체감을 개발할 수도 있고, 패배적인 정체감을 개발할 수도 있다. 인간의 성장 동기를 중요시하며, 결정론적 입장을 반대하고 자기 결정을 강조한다.

 

3. 성격이론

인간의 기본적 욕구인 정체감은 자신과 주위 사람들의 관여를 통해 발전한다. 즉, 자신과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사랑하고 가치 있게 여기면 성공적 정체감이 발달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에는 패배적 정체감이 발달한다. 스스로가 져야 할 책임을 지지 못하는 경우와 인간의 행동과 환경이 현실적 맥락에서 불일치하는 경우에 문제행동이 일어난다.

 

4. 상담의 목적과 목표

내담자 가 현실적이고 책임질 수 있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성공적인 정체감을 개발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자율성을 갖도록 한다. 내담자가 행동에 대한 가치판단을 할 수 있게 하고, 행동을 바꾸려는 결정을 하는 등 자기 결정을 할 수 있게 한다.

 

5. 상담의 과정과 기술

상담의 과정은 (1) 관여 (2) 책임의 소재확인 (3) 재학습기술이다. 주로 적극적 지시적 그리고 교수적 방법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관여단계에서는 온정, 관심표명, 긍정적 존중, 진실성, 자기개방이 있고 책임의 소재확인 단계에서는 맞닥뜨림이 있으며 재학습 단계에서는 체계적 계획하기, 시범, 교수, 대화, 유머, 풍자 등이 사용된다.

 

6. 적용 및 평가

원래는 소년원과 같은 수용시설에 있는 청소년에게 적용시켰으나 지금은 일반 학생들의 장면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개인상담, 집단상담, 결혼상담에 적용된다. 상담기간이 짧고, 의식의 범위에 있는 행동을 다룬다는 점이 강점이다. 그러나 정신질환이란 없다고 주장한 점과 상담에 깊이가 없다는 점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C.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상담의 이론과 실제  (0) 2006.04.06
상담심리 기출문제.  (0) 2006.04.05
10. 행동주의적 접근  (0) 2006.04.03
9. Williamson의 이성적 지시적 접근  (0) 2006.04.03
8. Ellis의 합리적 정서적 접근  (0) 2006.04.03